Tech116 gitlab 복구 하기 개인적인 gitlab을 시놀로지 NAS에 올려서 사용하고 있는데, 패키지 센터에서 업그레이그가 떠서 업그레이드를 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였다.그 뒤로는 Docker로 구성된 gitlab이 실행도 복구도 되지 않았다.gitlab 자체 백업을 해둔게 없었기 때문에 시놀로지에서 고쳐줄 때 까지 기다리던지, 알아서 고쳐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고.. 후자를 선택했다 -_-;;mysql db를 백업docker data 디렉토리 백업docker 환경 변수 백업 (DB_PASS , GITLAB_SECRETS_OTP_KEY_BASE, GITLAB_SECRETS_DB_KEY_BASE , GITLAB_SECRETS_SECRET_KEY_BASE 위 4개는 꼭 백업)복원은 백업을 다 하고 난 뒤 Maria DB랑 Gitlab.. 2017. 12. 24. Elastic Stack 오픈스택에 설치하기 ELK(Elastic Search + Logstash + Kibana)의 이름이 Elastic Stack으로 바뀌었다.1. 설치는 아래 링크를 따라 하면 쉽게 설치가 된다.https://www.elastic.co/guide/en/elastic-stack/current/installing-elastic-stack.html2. 설정2.1 Elastic Searchx-pack을 설치를 하게 되면 authentication을 써야 하는데 /etc/elasticsearch/elasticsearch.yml 에 아래 설정을 추가하면 무시하게 된다xpack.security.enabled: false2.2 Logstashfilebeat로 부터 로그를 가져오기 위해서 아래 디렉토리에 input, filter, output.. 2017. 12. 24. lxd container static ip setting Juju로 container를 생성하고 난 뒤 해당 container에 static ip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cloud init과 lxc config를 변경해야 한다.lxc config edit : 변경할 ip를 수정하고 저장한다.container안에 기 반영된 ip가 저장된 파일을 수정하고, binary file은 삭제 한다./var/lib/cloud/instances//obj.pkl 삭제/var/lib/cloud/seed/nocloud-net/user-data 수정/etc/network/interfaces.tmpl 삭제reboot 2017. 12. 24. Azure에서 파워쉘 사용하기 Azure에서 포탈을 통해 클라우드를 사용할 수 있지만, 특정 기능은 파워쉘을 이용해야 한다. https://docs.microsoft.com/en-us/powershell/azure/install-azurerm-ps?view=azurermps-4.3.1 파워쉘을 실행 후Login-AzureRmAccount하게 되면 Azure 로그인 창이 뜨고 로그인을 할 수 있고, 그 다음부터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plication gateway의 리스너를 삭제하는 명령은 아래와 같다.$AppGw = Get-AzureRmApplicationGateway -Name “application-gateway-name” -ResourceGroupName “application-gateway-resource” R.. 2017. 12. 24.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29 다음